부동산 폭등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때문이라는 '거짓 선동' 덕분에 정권교체가 가능했다는 설명을 들으면 더 놀라지 않을까요?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2:18
신천지애들 불쌍하다
댓글신고
15-07ce4b | 2022-05-27 22:19
ㄴ 설명이 필요하다는 말씀을 돌려서 하시는건가요?
댓글신고
38-35728a | 2022-05-27 22:19
첫째, 부동산 폭등에 관해서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2
1. 세계금융위기 해결을 위해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에서는 유래없는 양적완화를 해왔고, 이로인해 코로나 이전까지도 유동성 폭증과 함께 자산가격이 폭등해옴.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2
2. 문제는 1.에서의 폭증한 유동성을 수습하지도 못했는데 코로나가 터졌고, 오히려 무제한적 양적완화로 유동성을 '더' 폭증시킴. 이로인해 전세계적으로 모든 자산가격이 폭등한게 현재상태이고, 그중 부동산이 한 예시.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2
3. 즉, 어떤 정부에서 어떤 정책을 썼건간에, 코로나로 인한 유동성 폭증 때문에 전세계에서 모든 자산가격이 폭등했을 것이고, 오히려 대한민국에서 부동산 폭등폭은 오히려 다른 나라들에서보다 양호함.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2
둘재, 부동산 폭락에 관해서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6
1. 부동산 자산가격을 크게 결정하는건 부동산 정책이나 공급이 아니라 경기와 금리인데, 그중 경기는 꺽여서 하락하기 시작한지 오래.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6
2. 코로나로 인한 양적완화 이후 발생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연준에선 예정보다 크고 빠르게 금리인상을 하겠다고 함. 따라서, 한은에서는 이에 미리 앞서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밖에 없음.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6
3. 즉, 어느 정부가 됐든, 어느 부동산 정책을 쓰든, 경기하락과 금리인상으로 인해, 폭등한 자산가격 거품의 반절 가까이 폭락할거라는게 중론.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6
(질문타임)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16
문재인 정부 들어 수도권 주택시장에서는 이전에는 관측하지 못했던 서울만의 나홀로 행진이라는 독특한 현상이 전개되었다. 노무현 정부 때는 서울의 강남 재건축 아파트에서 시작된 가격 상승세가 약간의 시차를 두고 소위 버블세븐(서울시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목동, 성남시 분당신도시, 용인시, 안양시 평촌신도시) 지역을 거쳐 수도권의 동반상승으로 이어지는 동조화가 발생했었다. 노무현 정부 시기 다양한 창의적인 규제 개발과 강화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경기, 인천의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큰 편차 없이 모두 약 75%(부동산114 시세지수 기준) 정도의 상승을 기록하고 국제금융위기를 맞이했다. 이후 이명박 정부 시기 수도권 주택시장 하락기가 상당기간 지속되었으나 지방광역시의 경우는 오히려 급등세를 경험하여 노무현 정부 시기 발생했던 수도권의 누적상승률을 초과하는, 노무현 정부 초기 기점 10년간 100%를 넘어서는 누적 상승률로 마감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면서 수도권 시장은 회복세로 전환하였고 지방광역시도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다만 경상남도와 같이 공급과잉이 발생했던 지역은 하락세로 전환하는 등 주택수급상황에 따른 지역편차가 발생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말기 서울만의 급등세가 시작되는 서울과 경기의 탈동조화현상이 촉발되었다. 결과적으로 수도권은 박근혜 정부 기간 동안 국제금융위기 이전 고점을 회복하는 수준에서 마감 되었다. 반면 지방광역시는 노무현 정부 초기부터 박근혜 정부 말기까지 14년 동안 수도권을 추월 하는 150%에 가까운 가격상승이 누적되었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4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시와 경기도의 탈동조화가 심화되어 2020년 11월까지 3년 반 동안 경기도는 약 34% 상승한데 반해 서울시는 약 69%로 경기도의 2배가 넘는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그나마 2019년 중반 이후 경기도의 동조화된 가격급등에 따라 그 격차가 완화되고 있다. 처음 겪어보는 서울과 경기의 탈동조화 현상으로 이에 대한 충분한 해석이 문재인 정부의 주택시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실거래가지수를 이용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 동향 시장을 좀 더 민감하게 보여주는 아래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지수의 움직임을 보면 서울시와 경기도의 탈동조화 현상은 2015년 전국이 잠시 안정세로 전환된 이후 재건축연한이 30년으로 축소된 2016년 초부터 시작된 듯하다. 이후 차별화된 변동추이는 2016년 공급과잉 논란에 따른 아파트분양시장에 대한 규제가 도입된 11.3 부동산대책 이후 잠시 주춤하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을 앞두고 가속화되었다. 이렇게 촉발된 서울만의 독주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및 재건축 규제 강화 등 강력한 규제가 포함된 8.2 대책으로 또 잠시 주춤하다 다시 급등세로 전환하였다. 2018년 9.13 대책이 발표되기 전까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반 정도의 기간 동안 경기도는 5%의 안정세를 유지한 반면 서울은 무려 29% 가격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5
종부세 강화 및 강력한 다주택자 대출규제를 포함하는 9.13 대책의 효과는 가시적이어서 이후 6개월에 걸친 가격 하락세를 만들어 내었다. 그러나 이후 다시 급등세로 전환하였는데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축기까지 11%의 추가 상승으로 서울시 아파트의 경우 문재인 정부 시기 누적으로는 2020년 10월까지 44%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이 시기의 문제는 풍선효과로 인해 서울만의 독주가 아닌 경기도와 지방광역시가 함께 상승세로 전환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이후 도입된 강력한 대출규제를 포함한 2019년 12.16 대책은 평균적으로 서울 아파트 시장에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오히려 경기도의 급등세로의 전환을 유도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하부시장을 나누어 들여다보면 강남4구가 포함된 동남권의 경우 안정세로 상당기간 전환한 반면 상대적으로 저가아파트가 몰려있는 동북권의 경우는 상승세가 가속화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후 2020년 3월 전후로 코로나19 신천지 사태로 인한 거래량의 급감으로 주택시장의 위축을 경험하다가(2020년 6월까지의 한시적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완화 기간의 영향도 존재) 다시 반등 하여 2020년 6.17 대책, 7.10 대책, 8.4 대책이 연이어 발표되었음에도 오히려 상승세는 가속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2020년 3월 부분 정점 이후 10월까지 약 12%의 추가 상승이 발생 하여 문재인 정부 누적 약 63%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10%가 추가 상승하여 누적 약 23%를 기록하여 부동산114 시세지수와 유사한 추이를 보였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5
서울만의 독주 그런데 왜 2016년 이후 경기도와 차별화된 서울만의 아파트 가격 독주가 시작되었을까? 서울 아파트의 가격변동이 경기도와 차별화되기 시작한 2016년을 전후해 몇 가지 정책적인 변화가 있었다. 2015년 9.2 주거안정대책으로 정비사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었고, 이로 인한 재건축 아파트 분양가 상승을 통제하기 위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보증을 수단으로 활용한 비공식적인 분양가 통제가 2016년 8월부터 시작되었다. 이어서 뜨거워진 분양시장을 통제하기 위한 분양시장규제 강화가 이루어진 박근혜 정부의 마지막 대책인 11.3 대책이 발표되었다. 좀 더 논의가 필요한 이슈이나 확실한 것은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과 연계된 정책 변화는 모두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와 공급위축 기대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결국 서울만의 독주는 수요요인으로는 인구축소기를 앞둔 시점, 공급과잉의 우려가 있는 수도권 외곽 아파트에 비해 안전한 투자대상인 중심도시의 고용중심지 주변 주택에 대한 선호도 강화로 촉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재건축아파트가 주요 대상인 비공식적인 형태의 HUG 분양가 통제와 뉴타운 출구전략으로 인한 선호지역 아파트 공급 위축에 대한 기대가 서울만의 독주를 더욱 자극했다. 이어진 문재인 정부에서의 다주택 소유규제는 중심도시지역 내 안전하고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를 더욱 자극했고, 재건축부담금 및 재건축 규제 강화는 장래 공급 위축에 대한 우려를 심화시켰다. 결국 문재인 정부 5년차가 되는 2021년에는 서울시내 아파트 입주물량이 3만호 미만 으로 급감할 현실을 맞이하게 되었다. 현 정부의 20번이 넘는 부동산대책과 그 효과를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들은 핀셋규제와 그에 따라 반복되는 풍선효과이다. 불행하게도 그 흐름은 노무현 정부 시기와 너무 유사하다. 다만 그 속도가 빨라졌을 뿐 주택시장도 그때와 유사한 반응을 보여주며 엇나가고 있다.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강해지니 서울의 아파트가 똘똘한 한 채가 되었고, 재건축 규제를 강화한다고 하니 강남지역 아파트들의 희소성이 더 높아졌다. 또한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으로 핀셋규제를 한다고 했으나 투기과열지구나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가격상승세가 더 가팔라지는 통제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했다. 아파트가격 상승추세는 강북으로, 서울 인근 경기도지역으로 확대되었다가 다시 서울로 되돌아오는 역풍선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결국 현재는 문재인 정부 초반 발생했던 서울만의 독주도 마감되고 지난 노무현 정부에서처럼 연속된 풍선효과로 수도권의 전반적인 아파트 가격의 급등 현상이 재연되고 있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5
문재인 정부 초반 매매가격의 불안에도 불구하고 전월세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추이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매매시장의 가격 안정세를 만들어내기 위한 규제가 결국은 전월세시장에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임대차2법의 시행이 더해져 심각한 전월세시장의 불안이 함께 발생하는 복잡한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지역별 전세시장 동향 매매시장과 다르게 전세시장은 꾸준히 상승하여 왔고, 노무현 정부 시기부터 박근혜 정부 말기 까지 누적상승률은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가 좁혀지는 양상을 보이며 세 개의 정권을 거치며 거의 2.5배 수준으로 앙등하였다. 이후 양상은 많은 차별화를 보인다. 공급과잉이 극심했던 경상남도와 같은 지역은 하락세로, 경기도와 같이 밀어내기 분양이 많았으나 가구 수 증가가 어느 정도 동반된 지역은 안정세로, 서울과 같이 선호도는 높아졌으나 신규 아파트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았던 지역은 지속적인 앙등세를 보였다. 문재인 정부 시기만 보면 2020년 11월까지 경기도는 15%의 상승률에 불과한데 서울시는 22%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그나마 정권 초기 가중된 탈동조화에서 중반 이후 하락세가 동반 상승세로 전환된 결과다. 우려되는 점은 임대차2법이 발효된 이후 5개월간 경기도는 9%, 서울시는 8%의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서울과 경기도의 탈동조화 현상이 기대심리와 투기에 의한 영향이 없는 전세시장에도 발생한다는 점은 매매시장의 탈동조화현상 역시 수급요인이 주요한 요인임을 암묵적으로 말해준다. 실제로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 추이가 박근혜 정부 때 진행된 경기도의 인허가물량 급증과 그 결과로 입주물량이 늘어나던 시기인 문재인 정부 초중반에는 안정세를 보이다가 입주물량으로 소진되는 시기 반등이 시작되었다는 점이 눈여겨 볼 사항이다. 그리고 최근 수도권의 가구 수 증가 추이가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는 점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반면에 서울의 지속적인 상승세는 유일한 신규 아파트 공급방안인 재건축 및 재개발의 억제로 인해 원활한 신규 아파트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졸속한 입법 과정을 통해 시행되고 있는 전월세상한제와 계약 갱신청구권의 영향으로 전세매물 급감을 동반하는 전세가 폭등이 발생하고 있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5
서울시 월세시장 동향 변동성이 큰 전세시장에 비해 완전월세로 환산된 월세지수의 경우는 수년간 지속된 금리 인하의 영향이 그대로 반영되어 장기적인 안정세를 유지하다가 서울 아파트의 경우 지난 7월부터 상승세가 시작되어 11월까지 5개월간 2.8%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급격한 월세 상승 추세는 전월세 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 이상의 요인과 결합되어 촉발된 듯하며, 강화된 종부세가 부과되는 시점인 11월에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이러한 월세의 급격한 상승세는 부동산114 지수 뿐 아니라 국민은행 및 한국감정원 지수에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6
유사한 월세 급등세가 2005년 8.31 대책의 입법으로 강화된 종합부동산세가 부과되기 시작한 2006년 11월경에도 발생했었다. 그 부과시점부터 촉발된 월세 상승세는 이후 이명박 정부 들어 종부세 완화가 이루어지기까지 지속되었고, 서울시의 경우 가장 높은 20%에 가까운 월세 상승이 2년 여 간 누적되어 발생했었다. 이는 다주택자들의 소유주택인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종부세 부담이 임대료의 상승을 야기하는 교과서적인 재산세 전가효과이다. 지금 관측되고 있는 월세 상승세는 7.10 대책의 입법화로 내년부터 적용될 상한 6%에 달하는 2배의 세율로 강화된 종부세의 인상효과와 향후 90% 수준까지 올리겠다는 공시가격 현실화 효과가 시장에서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나고 있다. 올해 이루어진 부분적인 세율 인상, 좀 더 현실화된 공시가격, 그리고 등록임대사업자 세제 혜택 폐지만 영향을 미친 정도이다. 결국 최근 발생하고 있는 월세의 상승 추세는 초기 단계로, 향후 심각한 월세의 급등이 발생할 수 있는 전조현상에 불과하다. 또한 다주택자들의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운영비용의 급등은 결국 현금흐름이 부족한 반전세나 전세를 털어내고 보증부월세로 전환하고자하는 임대인의 욕구를 더욱 자극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임대차2법의 시행으로 전세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 월세 급등 및 월세로의 급전환이 가속화 되면 전월세시장은 붕괴에 가까운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6
박근혜 정부 중후반 수도권에서는 주택공급과잉이라고 비판받을 만큼 과도한 주택인허가와 과도한 아파트 분양이 진행되었다. 장기적인 인구구조의 변화로 수요 위축이 예상되는 시기인 관계로 공급과잉에 대한 논란이 전문가 의견의 주류였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문재인 정부 초중반 서울만의 독주는 지속되었다. 다만 문재인 정부 4년차에 접어든 현재는 서울과 경기도의 동반 상승세로 전환되었다. 이런 특이한 현상에 대하여 좀 더 엄밀한 진단이 요구된다. 지속적인 금리의 하락과 풍부한 유동성의 문제가 기저에 깔려있으나 해당 기간에도 하락세나 안정세를 유지하는 시장도 많았다는 점은 기본적으로 수급요인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시기별 주택 공급 추이 박근혜 정부 시기 주택시장의 회복과 함께 건설회사들은 인구축소기 이전 마지막 기회로 판단 하고 저마다 분양물량을 쏟아냈었다. 2014년 이전 15만호 정도이던 수도권 아파트 인허가물량이 2015년 무려 27만호에 달했다. 비아파트 거주단위 물량을 포함한 총 인허가물량은 무려 43만호 (거주단위)로 유사 이래 수도권의 가장 많은 인허가 물량이었다. 이후에도 20만호 이상의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이어져 수도권 전체가 공급부족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되어왔다. 다만 총 인허가물량은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019년에는 28만호에 불과하고 2020년 11월말 까지는 18만호에 그치고 있어 향후 3~4년 뒤 입주물량의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7
반면 서울시에서는 노무현 정부 시절 5~6만호 수준을 유지하던 아파트 인허가물량이 국제금융 위기 이후 회복되지 못하고 3~4만호 수준을 유지하였다. 여기에는 도시재생에 방점을 둔 고 박원순 시장의 선택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뉴타운 출구전략으로 25만호의 아파트 건립이 가능했던 393 개의 재개발구역을 해제시키는 과도한 다이어트가 진행되었다(이창무・지규현 2020). 다만 문재인 정부 들어 2018년 재건축부담금 부과 재개를 앞두고 2017년 7.5만호의 아파트 인허가 물량이 반짝했다. 이렇듯 서울시의 경우는 2013년 이후 시장회복기에 아파트 인허가물량의 충분한 증가가 발생하지 못했다는 점이 수도권 전체 그림과의 차이점이다. 그러나 뉴타운 출구전략의 반작용으로 2013년 이후 뉴타운 해제지역에서 개별 필지별 재건축이 확대되어 5만호를 넘나든 다세대 중심의 비아파트 인허가물량의 급증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총 물량으로 따지면 이명박 및 박근혜 정부 시기 총 주택 인허가물량이 위축되지는 않았다. 반면 문재인 정부 기간은 비아파트를 포함한 총 물량에 있어서도 위축된 추이가 뚜렷하게 관측된다. 특히 2020년은 11월말까지 총 인허가물량이 5만호에 미달하고 아파트는 2만호 정도에 불과한 상황이다. <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7
인허가물량이 실현되는 데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고 여러 이유로 준공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인허가물량도 많고, 진행이 늘어졌던 정비사업이 시장활성화의 효과로 준공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국제금융위기 이전 5만호를 넘나들던 아파트 입주물량이 이후 2009년~2017년 사이 2~3만호대로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7
앞선 아파트 입주물량 추이와 비교하면 멸실물량 추이는 2~3년 정도 선행하는 추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택멸실물량은 2010년대 초반 2만호 수준을 유지하다 2015년 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2017년 4.8만호 수준에 도달했다. 이후 2018년 및 2019년에는 3만 2~3천호 남짓 수준으로 감소한 상황이며, 2020년 역시 11월말까지 2.8만호를 하회하고 있어 향후 아파트 입주물량이 위축될 소지가 많음을 암시한다. 이와 같이 서울시 주택시장의 신규 주택 건설 확대는 기존 주택의 멸실 증가를 동반한다. 특히 최근 5년 동안 아파트의 멸실물량은 1만호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선호도 높은 아파트의 경우는 최근 이루어진 3~4만호대의 입주물량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연간 2~3만호대의 순증이 발생했을 뿐이다. 예상보다는 아파트 재고의 증가가 많지 않았다는 것이 현실이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8
문재인 정부의 다주택자 관련 정책은 이전 노무현 정부에 비해 좀 더 명시화된 1가구 1주택 소유주의의 기치를 내세우고 있다.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1가구 1주택 소유주의가 지닌 비현실성에 대한 이해로 표면적인 화두로 대두되지는 않았었다. 그에 반해 문재인 정부에서 추구된 정책적인 선택은 다주택자의 임대주택 공급자로서의 긍정적인 기능을 무시에 가까운 수준으로 폄하하는 정책적인 선택을 통해 현재의 전세난 뿐 아니라 향후 심각한 주택시장의 불안을 초래할 불쏘시개를 안고 있는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의 1가구 1주택 소유주의에 기반한 다주택자 규제 강화의 부작용은 노무현 정부 시기 발생했던 시장효과와 비교하면 이해가 가능하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28
그러니까 우리 선생님 ㄲ서는, 부동산 자산가격의 폭등과 폭락이 부동산 정책 때문이라는거죠?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29
땡, 틀리셨네욬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29
대한민국에서의 부동산 자산가격은, 역사적으로 경기, 금리, 풀린 돈으로 결정돼왔답니다.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29
부동산 정책은 씨이발 아무런 영향을 못끼침.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29
근거는?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30
너보다 똑똑한 행정연구 박사 저널인뎈ㅋㅋ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30
이명박근혜때 부동산 정책으로 부동산 부양하려고 아무리 개지랄 떨어도 부동산 자산가격 폭락했고, 문재인때는 정 반대였고요.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0
그냥 무시가 답인거같다 너는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31
우리 병신 벌레 씹년은, 아무런 반박이 되지 않는 내용을 가져와서 도대체 뭘 반박하려고 하는지가 궁금하네요. 내용상 아무런 반박이 되질 않거든요.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1
논할거치 없음 증명 끝 뇌피셜 싸개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7 23:32
즉, 제가 하는 말을 이해할 능지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지가 가져온 반박내용의 의미도 이해할 능지가 없다고 보여지는 부분이죠.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2
위에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2
제가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2
부동산 자산가격을 결정하는건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2
부동산 정책이 아니라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2
경기, 금리, 풀린 돈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2
이 세개이고, 대한민국 역사상 부동산 자산가격의 폭등과 폭락이 이 세 요소로만 결정돼왔다는걸 설명드렸는데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3
씨발련이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3
부동산 정책 ㅇㅈㄹ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3
하다보니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3
이렇게 댓글이 길어지는거라고요
댓글신고
38-a1b938 | 2022-05-27 23:33
자, 처음부터 다시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4
응 근거 종범 통계 종범 뇌피셜 싸개 논할가치 없음
댓글신고
48-f4db8d | 2022-05-27 23:35
부동산 폭등은 유동성 폭증 때문이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때문이 아닙니다.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5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해라ㅋㅋㅋ
댓글신고
48-f4db8d | 2022-05-27 23:35
"논할가치 없음" -> " 논리적으로 개털려서 미움 ㅠ"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6
근거도 없이 수요와 정부정책없이 경제 굴러가는 이론 첨듣네ㅋㅋㅋ 고딩때 잤냐?
댓글신고
48-f4db8d | 2022-05-27 23:36
1. 부동산 폭등은 유동성 폭증 때문이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때문이 아닙니다.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6
"근거도 없이 수요와 정부정책없이 경제 굴러가는 이론 첨듣네ㅋㅋㅋ 고딩때 잤냐?" -> 전세계 주요국 모두 공급정책 실패해서 부동산이 폭등했구나 ㅠㅠ 전세계적으로 너무 슬프다 ㅠㅠ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7
ㄴ ㄹㅇ 존나 능지 개병신 새끼라는걸 대놓고 반박이라고 하는게 퍽 재미있음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7
"근거도 없이 수요와 정부정책없이 경제 굴러가는 이론 첨듣네ㅋㅋㅋ 고딩때 잤냐?" -> 전세계 주요국 모두 공급정책 실패해서 부동산이 폭등했구나 ㅠㅠ 전세계적으로 너무 슬프다 ㅠㅠ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8
ㄴ 이건 메모장에 저장해서 나중에도 써먹을게 친구야. 우리 친구는 명언을 많이 만드는 것 같네.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38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폭등을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탓을 하려다 보니, 천동설 처럼 사족이 길어지는 것이죠.
댓글신고
38-dd5761 | 2022-05-27 23:40
3. 그냥 위의 여섯중 요약을 알아들을 능지가 있었다면 부동산 정책 때문에 부동산 폭등 ㅇㅈㄹ을 못하는건데, 그냥 능지 문제때문에 댓글이 길어짐 ㅎㅎ
댓글신고
와 이걸 38은 존나 이상하세 해석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가서 슈카월드나 보고와라 그것만 해도 니 능지 업그레이드에 크게 도움된다
댓글신고
89-f2bdc2 | 2022-05-27 23:51
"이처럼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말, 그리고 2001년 이후의 부동산 과열에는 통화량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지만 정작 부동산시장을 잡는 정책적 노력에 유동성과 금리 등 통화운용정책의 고려비중은 낮았다. 서울대 김용창 교수는 “그동안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응하는 대책의 특징은 이처럼 부동산 부문 이외의 원인(과잉유동성)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부동산 부문 자체에서만 해결책을 찾는 것이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시장 교란의 원인과 처방 사이에 괴리가 있었던 셈이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3:51
"“지금은 심각한 경기침체와 부동산과열이 같이 왔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는 거시적인 방법으로 유동성을 줄여서 부동산투기를 막는 것은 부동산 투기 억제의 효과는 별로 없고 그 대신 경기를 죽이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우려가 있어...”(2003년 6월17일 국회재정경제위원회 속기록)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3:52
"‘정부 행정력에 의존한 미시적 부동산 가격 안정대책만으로는 급등하고 있는 부동산가격을 잡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에 대한 당시 박승 한국은행 총재의 답변에는 부진한 경기와 부동산 과열이라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뛰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데 대한 고민이 드러난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3:53
미새끼가 이상한 칼럼이나 이상한 유튜브 채널에 집착하는 것은, 그걸 일방적으로 수용할 수 밖에 없는 나새끼의 처참한 능지 때문임.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3:55
즉, 이렇게 댓글이 길어지는건 전적으로 니새끼의 처참한 능지 때문.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3:55
뭐 어찌됏든 나는 니새끼를 이용해서, 부동산 폭등이 문재인 때문이 아니라 유동성 때문임을 설명할 수 있어서 좋고. 니새끼가 반박이라고 가져오는 개소리들 매번 논파할때도 쾌감이 있어서 좋음 ㅎㅎ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3:57
즉, 니새끼의 존재가 나에게 이득인데, 우리 친구는 아직도 못알아듣는듯 ㅎㅎ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7 23:58
나는 우리 친구를 이용해서 앞으로 5년동안, 부동산 때문에 정권교체 했다는 새끼들 극딜 넣을거야 친구야 ㅎㅎ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8 00:07
우리 친구가 도와줬으면 하네^^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8 00:07
"2001년 이후 저금리 속 부동산 값 급등이라는 고민은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영국의 유력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2004년 9월9일자)에 따르면, 세계 20개 국가의 주택가격을 조사한 결과 11개 나라의 집값이 두 자리 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곳은 홍콩으로 무려 28.7%나 급등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 25.5%, 뉴질랜드 22.1% 등이 20%가 넘었다.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집값이 과거 정점기보다 과대평가돼 있다”면서 “중국과 남아공을 비롯해, 세계 3분의 2 지역에서 주택가격 거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8 00:09
아 귀찮아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8 00:10
ㅎㅎ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8 00:10
우리 친구가 부동산 폭등이 문재인 때문이라고 할수록, 나는 우리 친구를 핑계삼아 부동산 폭등이 유동성 때문이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때문이 아니라는 설명을 할 수 으밖에 없어.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8 00:13
뭐 물론 나한텐 오히려 좋지.
댓글신고
38-24e2c6 | 2022-05-28 00:14
능지가 이렇게 처참하다니 무시가 답이네ㅋㅋㅋ 먹이금지
댓글신고
ad-60d36a | 2022-05-28 01:08
저널도 아니고 2007년도 뉴스기사ㅋㅋㅋ 그것도 정부가 작성한 정책분석 보고서ㅋㅋㅋㄱㅋ 바이어스 투성이인 분석집을 근거랍시고 내놓는게 안 부끄러운기? 가방끈 ㄹㅇ 짧나보네
댓글신고
25-4bd98e | 2022-05-28 01:28
얘아 근거를 대려면 바이어스 없는 객관적인 자료를 들먹여야지 어디서 근본없는걸 들고오니
댓글신고
requires at least 1 of the following symptom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time during a 1-month period: delusions, hallucinations or disorganized speech. Grossly disorganized behavior (catatonia) or the negative symptom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present. Symptoms may have been present for less than a month, if they resolved after being treated. Symptoms must last more than a month but less than 6 months. There can be no manic, depressive or mixed manic-depressive episodes during these symptoms, and any mood disturbance must have been present during only a minority of this time, thereby excluding schizoaffective disorder or bipolar disorder with psychotic features. These symptoms cannot be due to the effects of a substance (drug of abuse or medication), or to a medical or neurological disorder.
댓글신고